
I. 서언(序言)
코로나의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각종 모임과 회의들이 기지개를 켜는 동시에 각종 회의 통지서가 하루가 멀다 하고 부쳐져 온다.
하지만, 이 모임과 회의들의 제목들을 보면 일관성이 없이 제각각인 경우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회 소집이나 각종 모임 통지서를 보면, 어떤 경우는 제O회(回)라고 했고, 또 어떤 모임은 제O차(次) 회의라고 했다. 또한 제O기(期) 모임이라는 통지서도 있었다.
거의 대부분 나름대로의 명분과 취지에 맞는 제목이 많았으나 어떤 경우들은 같은 성격의 모임이지만, 제목은 다른 경우들도 종종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위 3가지 용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II. 회(回)와 차(次)와 기(期)의 구분
1. 회(回) : 제O회(回)의 회의 사전적인 의미는 ‘횟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즉‘일정한 기준이나 주기에 따라 반복되는 각각의 단계나 차례’를 의미할 때 사용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제1회 정기총회라든지 제2회 정기노회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2. 차(次) : 제O차(次)의 차의 사전적인 뜻은 일의 횟수를 헤아리는 단위인 ‘번’과 일이 발생하는 횟수를 세는 ‘차례’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논하면 어떤 일을 하는데 있어서 그 일을 나누어서 행할 때 1차, 2차라는 표현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2회 정기노회의 기간이 1년이라고 가정하면, 이 회기 안에 수차례 이상의 임원회가 모여질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제2회 정기노회 기간 중의 1차 임원회, 2차 임원회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차’는 ‘회’가 아니기 때문에 제O차 정기 총회나 제O차 정기노회 등의 표현은 적절하지 않는 것이다.
3. 기(期) : 제O기(期)의 사전적인 뜻은 시절, 시기, 기간 등을 뜻하는 용어이다. 즉 일정한 기간씩 되풀이 되는 일의 하나하나의 과정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하는 말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논하면, 중고대학교 같은 정기 학제가 아닌, 사회교육원이나 각종 세미나에서 주로 행해지는 일정기간 교육을 수료하는 성격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4. 예제 : “OO학교 졸업 동문회”를 어떻게 표현할까? 필자가 받아본 어떤 동문회 소집 통지서에서 어떤 경우는 ‘제O기 졸업동문회’라 했고, 또 어떤 경우는‘제O회 졸업 동문회’란 제목이었다. 이 두 가지 중에 어떤 표현이 올바른가? 이의 정답은 제O회로 하는 것이 옳다. 그 이유는 앞에서 논한 대로 ‘기’는 회기 연도적 학제(學制)개념이 아닌 연(年)단위 속에서 단기적 기간의 수료행위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O기로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III . 결 어(結語)
이상에서 논한 대로 ‘회’, ‘차’, ‘기’란 용어는 서로 엇비슷한 것 같아 보이지만 그 개념상으로 보면 이런 미세한 차이가 있다. 물론 이런 용어를 잘 못 사용했다 해서 행정 질서에 문제가 생겨지거나 법적인 문제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용어상의 작은 부분이라서 간과하거나 무시하다 보면 본질과는 전혀 관계없는 비본질적인 시시비비가 일어나는 경우들을 종종 목격할 때가 있다.
서두에서 언급한 대로 시찰회나 노회 등 여러 회의들이 소집되고 있다. 이런 각종 회의들과 모임들 속에서 정확하고 바른 용어 사용으로 아름다운 모임과 회의 문화를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