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24(수)
 
김성수 총장_사이즈 조정.jpg
김성수 총장(에반겔리아대학)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일상적인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세상과 사물을 성경적 관점을 통해 바라보고 사고하며 실천하는 일이다. 거듭난 니고데모의 안경을 통해서 사물을 바라보고 영위하는 삶 전체가 영적인 삶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성경적 세계관의 틀을 통해 사물을 바라보지 않으면 하나님의 선한 질서를 왜곡시키는 중대한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류의 결과는 개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집단 구성원의 삶의 양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왜곡의 모습의 한 예를 일에 대한 관점과 결과를 통해서 성경적 관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려고 한다.

성경은 처음부터 우리의 일이 신적 기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일이란 거룩한 청지기로서의 소명이며, 영적인 활동이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은 일을 하도록 사명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성경은 많은 곳에서 여호와 하나님을 일을 하시는 하나님으로 묘사하고 있다. 예수님께서는 요한복음 5:17절에서 말씀하시기를,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 한다”고 하셨다. 여호와 하나님은 일하시는 하나님이시다. 바로 이 진리로부터 일의 존엄성에 대한 기독교적 가르침이 유래하고 있다.

그러나 성경의 조명이 없었던 고대 헬라인들은 일에 대해서 이러한 태도를 가지지 않았다. 플라톤의 신은 일을 하는 신이 아니다. 플라톤에게 있어서 신은 위대하고 무한한 사상가일 뿐이다. 플라톤의 신은 이 세계를 만든 신이 아니라 단지 계획했을 뿐이다.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에게 있어서 철학자는 귀족이며, 사상가며, 여가를 즐기는 사람이다. 헬라인들에게 있어서 노동자들은 천대와 멸시를 받았다. 일을 천한 것으로 보았다. 신에 대한 이러한 관점 때문에 이들은 일의 존엄성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우리가 아직도 손으로 노동을 하는 사람들은 천하게 생각하고 머리로 사고하는 사람들은 더 높고 존귀하다고 생각한다면 이러한 태도는 성경적인 태도가 아니라 이교적인 헬라적 태도이다.

헬라의 이교적 관점은 로마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로마 공화국 초기에 귀족은 하인이나 노예와 함께 토지를 소유하고 경작했다. 그러나 공화국이 확장되고 카르타고와 헬라 문화를 접하면서 일에 대한 결정적인 태도 변화가 일어났다. 헬라 문화와 마찬가지로 정신에 대한 묵상이 물질 세계를 대상으로 활동하는 것보다 더 높은 것으로 여겼다. 로마 귀족들은 ‘라티푼디아’(latifundia)로 알려진 노예가 운영하는 대규모 농장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그들은 점점 더 아름다운 예술품, 정원 및 주택과 함께 호화로운 삶에 자신을 바쳤다. 아름다운 미와 진리 속에서 사는 것이 정신적인 사색의 삶을 영위하는데 최고의 방법이라고 보았다. 완전한 신은 결국 선과 진실과 함께 아름다움의 근원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불행하게도, 정신적 명상의 삶을 숙고하고 영위하기 위해 그들이 추구했던 사치스러운 삶은 그들을 육신을 위한 활동으로 냉혹하게 끌어당겼다. 종종 그렇듯이 사치는 폭식과 난교라는 죄악된 삶으로 이어졌다. 진흙 램프에서 로마 빌라의 벽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장식하는 포르노 이미지는 제국 시대 로마인의 성적 집착에 대한 충분한 증거가 된다.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성행위가 더 비뚤어지고 극단적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펜트하우스(Penthouse)라는 잡지사에서 제작한 로마의 3대 황제 칼리굴라(Caligula)의 전기 영화는 이와 같이 극단적으로 왜곡된 삶의 충분한 증거가 될 것이다.

로마의 엘리트들이 소위 세련되고 방탕한 삶에 빠져드는 동안 누군가는 이들의 삶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일을 해야 했다. 그런데 이미 로마의 문화는 생산적 노동은 물질 세계를 다루기 때문에 하층 계급이나 노예와 같은 열등한 사람들에게만 어울리는 천박한 것으로 여겼다. 그래서 노예들이 일하던 귀족들의 소유 라티푼디아는 그 때까지만 해도 로마 경제의 중추였던 소규모 가족 농장을 점차 폐업 시켰고 이제 농업 생산은 주로 노예 중심의 기업이 되었다. 로마 제국의 전성기에는 사실상 전체 경제가 노예 노동에 의존해 있었다. 로마인들은 물레방아와 다른 노동 절약 기술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그것을 사용하지 않았다. 노예가 일을 하게 할 수 있는데 이런 기술에 자본을 투자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노예 노동에 의존하는 것은 민간 기업만이 아니었다. 국가는 노예를 사용하여 상품 운송, 특히 제국 주변의 군인을 운송하는 도로를 건설했다. 노예들의 노역을 통해 또한 황제와 귀족의 특권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거대한 정부 건물을 건설했다. 열등한자들이 자신들보다 우월한 자들을 섬기고 공경해야 한다는 가치구조 위에서 신들이 자신들을 기리기 위해 사원과 조각상을 원했다면 황제와 귀족들도 자신들을 찬양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노예와 하층 계급은 황실 영지의 분수를 위한 수로, 항구, 하수구, 서민을 위한 다층 아파트를 건설했다. 이 모든 건설 프로젝트는 노예와 평민들의 반란을 막기 위해,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로마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문명 사회라는 점을 모든 기회를 통해 과시해야 한다는 욕망에서 비롯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 제국의 도시 거주자 대부분은 열악한 공동 주택에서 지독할 정도로 불결한 생활을 했으며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다. 당시 이들의 평균 수명은 약 30년 정도였다. 위대한 공학 기술과 건축 성과는 주로 그리고 의도적으로 엘리트에게 혜택을 주었다. 그들은 대중에게 일자리를 제공했을지 모르지만 대중을 위해 유익한 다른 일들을 거의 하지 않았다. 일에 대한 헬라와 로마 사회의 왜곡된 관점이 가져온 개인적이며 공동체적 결과는 우리에게 성경적 관점을 확립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더 일깨워 준다.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성수 총장] 일에 대한 성경적 관점의 중요성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